전체 글55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5)- 1. 도커 설치전 (한줄 씩 실행)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apt-transport-https ca-certificates curl software-properties-common curl -fsSL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/gpg | sudo apt-key add - sudo add-apt-repository "deb [arch=amd64]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 bionic stable" sudo apt update apt-cache policy docker-ce 2. 결과 화면 3. 도커 ce 설치 sudo apt install docker-ce 4.. 2021. 9. 16.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4)- 1. 클라우드 우분투 서버에 접속을 위해선 putty 클라이언트 필요 (다운로드요망) https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latest.html 2. 다운로드 완료 후 puttyGen 실행 3. putty 실행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고 Saved Session 에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save 하면 해당 ip 로 putty 세팅했던 값들이 저장된다. 다음에 접속할 때는 지정했던 session 이름 을 클릭하고 Load 만 누르면 ssh key 를 포함한 세팅값들이 자동 기술되어 Open 만 클 릭하여 접속하면 됨 4. 접속 화면 tip ) publickey 접속 오류 날 때는 https://sculptingdeveloper.tistory.com/2 A.. 2021. 9. 16.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3)- 인스턴스에 대한 설정은 완료 했고 DNS (도메인) 등록하는 방법 기술예정 1. Route53 콘솔 진입 https://console.aws.amazon.com/route53/v2/home#Dashboard https://console.aws.amazon.com/route53/v2/home#Dashboard console.aws.amazon.com 2. 도메인 주소 네임 정하기 3. 도메인 등록 대기 4. 등록된 도메인 -> DNS 클릭 DNS 생성 완료 다음은 클라우드 서버에 원격 접속 포스트 2021. 9. 16.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2)- 1. 인스턴스 생성 후 인스턴스를 누른다 2. Networking 클릭 3. 포트개방 인스턴스 설정 마침 ps ) 인스턴스 생성 시 SSH 를 다운로드 받지 못 했을 때 는 ? 다음은 DNS (도메인이름) 을 생성하는 포스트. 2021. 9. 16. 이전 1 ··· 10 11 12 13 1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