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분투(데비안기반) vs CentOs(RHEL 기반)
1. 안정성 > CentOS 승
2. 기능다양성 > 우분투 승
3. apt , apt-get ( vs ) rpm , yum (패키지관련)
4. 업데이트 > 우분투 승
5. 웹콘트롤 패널(WHCP) 사용한 웹 호스팅 > CentOS 승
6. 지원 주기 > CentOS승 (우분투 2년마다 새버전, 5년간 서포트 / CentOS 10년 정도 서포트 )
7. 관련 자료들 > 우분투 승
참고 )
1. WHCP 란 ? ( == 웹 호스팅 제어판 )
웹 기반의 인터페이스에서 마우스 클릭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(GUI ? )
애플리케이션, 프로그래밍 언어, 데이터베이스 및 인프라 작업의 자동화 및 관리가 가능하며, 모든 계층과 운영 체제에서 바로 코딩 할 수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.
종류 > cPanel , Plesk 등
2. 웹 서버용으로 centOS 가 많은 이유 ?
1. 문제발생 시 RHEL 로 부터 서비스 받을 수 있음 . cnetOS 에서 운영 -> 납품 시 RHEL 국내 구입 -> 납품 (OS 변경 리스크 감소 --> 무료 OS 로 납품못하는 곳도 많음 )
2. CentOS 로 납품하고 문제 발생시 OS를 RHEL 로 변경가능
3. 지원기간이 길다. 오랫동안 보안업데이트 가능 , 버전수가 적어 버그가 적고 안정성이 높음
4. 오라클 DB 설치 편의성 (버그 적음 )
5. 대부분은 고객사가 RHEL 을 사용하기 때문 / 중소규모는 그냥 우분투로 --> RHEL 유료 서버 운영은 유료기술이나 최적화된 제품사용시 유의미 .
6. 사용 할 거면 CentOS 7
7. OracleDB --> CentOS or Oracle Linux
3. 결론
규모가 적거나 고객사가 RHEL 을 사용하지 않거나 오라클 DB 사용 하지 않을 것이고 RHEL 의 유료기술 혹은 최적화기술 등을 사용 하지 않는다면 우분투 선호
'VMware & Ubuntu &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ware 설치 (가상머신) # 9: 사용자 / 그룹 / 권한 (0) | 2021.11.09 |
---|---|
VMware 설치 (가상머신) #8 : 기본명령어 (0) | 2021.11.09 |
VMware 설치 (가상머신) #7 : 마운트 (0) | 2021.11.09 |
VMware 설치 (가상머신) #6 : 시작/종료 , 로그아웃, 가상콘솔(화면)/에디터 (0) | 2021.11.09 |
VMware 설치 (가상머신) #5 : CLI 모드 가상서버 세팅 (0) | 2021.1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