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3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6)- 1. Dockerfile 생성 우선 이렇게 작성 후 2번으로 넘어감 2. jar 로 빌드하기 show view -> gradle task show view -> gradle Executions 빌드가 완료되면 순서대로 bootJar 더블클릭 완료되면 해당 프로젝트 경로 /build/libs 에 두 개의 jar파일이 생성됨 3. sts 에서 터미널을 실행 * 먼저 여기서 https://hub.docker.com/ 도커허브 사이트를 가입하고 repository 를 생성한다 * (별도 검색요망 ) 다시 STS 로 돌아와서 프로젝트 우클릭 > show in local terminal > terminal 아래 terminal 탭 클릭 프로젝트 경로가 지정되어 있는데 이제 도커이미지를 생성할 차례 . 이제 아래의 .. 2021. 9. 16.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2)- 1. 인스턴스 생성 후 인스턴스를 누른다 2. Networking 클릭 3. 포트개방 인스턴스 설정 마침 ps ) 인스턴스 생성 시 SSH 를 다운로드 받지 못 했을 때 는 ? 다음은 DNS (도메인이름) 을 생성하는 포스트. 2021. 9. 16. 도커 /클라우드서버(AWS lightsail + 우분투 ) 를 이용한 배포 -최종(1)- jdk 8.0 스프링부트 (내장톰캣) mysql 빌드툴 GRADLE 1. Amazon Web Services(AWS) 가입 https://aws.amazon.com/ko/lightsail/ 2. AWS 관리 콘솔진입 3. AWS 인스턴스 생성 (서버) #리눅스 , 우분투 선택 # 서버 원격 접속을 위한 SSH KEY 를 생성 후 다운로드 (이름은 아무거나) # 가격은 5달러 짜리로 선택했음(필자) ( 그 이하는 도커 및 mysql , 스프링프로젝트 컨테이너들을 실행하는데 버겁거나 메모리부족 오류 떴음 ) # 인스턴스 이름 정하고 인스턴스 생성 우선 인스턴스 생성 까지 완료. 2021. 9. 16. 이전 1 다음